방송선곡안내
진행 : 송지원 / 연출 : 임종민
월~일 09:00~11:00(본) 00:00~02:00(재)
2022-01-29(일) 산책길 이정표 | |
---|---|
|
|
1. 평조이수대엽 - 대금 김정수 09:12
2. 설월이 만정한데[ - 노래 황숙경 04:05 대금:홍종진 장구:김정수
설월이 만정헌데 바람아 부지마라 예리성 아닌줄을 판연히 알건마는 그립고 아쉬운 마음에 행여긴가(하노라)
<전곡감상 - 김주옥의 제주민요_2010새음원시리즈 67:38> 3. 1) 밭 밟는 노래 밭 밟는 소리 노래:김주옥 후렴:김주산,김정수,안은자] 조밭에 조를 뿌리면 바람에 날리지 않게 말을 몰며 밭을 밟아 주었다. 2) 검질 매는 소리 밭 매는 소리 노래:김주옥 허벅,후렴:김주산,김정수 후렴:안은자 조밭에 조가 어느 정도 자랐을 때 밭에 조가 잘 자랄 수 있도록 풀을 뽑아주며 부르는 노래로 ‘검질’은 제주방언이다. 3) 타작노래 보리타작 소리 노래:김주옥 남방애:김주산,김정수 후렴:안은자 도리깨질을 하며 부르는 노래로, 도리깨질을 ‘도깨질’이라 부르며 마당에서 했기 때문에 ‘마당도깨질’이라고도 불렀으며. 보통 ‘마당질’이라 줄여 부른다 4) 촐 베는 소리 꼴 베는 소리 소에게 먹이는 밥을 ‘촐’이라 하며, ‘자골’이라는 풀을 베어 먹였다. 5) 해녀노래 노래:김주옥 허벅,후렴:김주산,김정수 후렴:안은자 해녀 노젓는 노래로, 해녀들이 물질하러 가는 배에서 노를 저으며 부르는 노래이다.
6) 망건만드는 노래 망건 만드는 소리 노래:김주옥 허벅,후렴 : 김주산, 김정수 후렴 : 안은자 갓을 만들며 부르는 노래이다. 7) 남방아 노래 방아 찧는 소리 노래:김주옥 남방애,후렴:김주산,김정수 후렴:안은자 ‘남방아’란 나무로 만들어진 방아를 말하며, 방아를 찧으며 부르는 소리이다. 8) 가래가는 노래 맷돌질 소리 노래:김주옥 후렴:김주산,안은자,김정수 맷돌을 돌리며 부르는 노래로 제주방언으로 ‘거래 거는 소리’이다. 9) 웡이자랑 자장가 노래:김주옥 대금:김동진 ‘웡이자랑’은 어서 잠들라는 뜻의 제주방언으로 아기구덕에 아기를 뉘여 흔들어 재울 때 부르는 노래이다. 10) 영주십경 서우젯소리 노래:김주옥 허벅,후렴:김주산, 김정수 후렴:안은자 영주(瀛州)는 제주도를 이르는 또 다른 이름으로, 제주도의 아름다운 10곳의 풍광을 노래한 곡이다. 11) 제주도민요 이야홍 노래:김주옥 허벅,후렴:김주산,김정수,안은자 ‘이야홍’이라는 후렴구가 특징이기 때문에 ‘이야홍 타령’이라고도 부르며, 제주도의 자연풍광을 노래한 곡이다. 12) 제주도민요 오돌또기 노래:김주옥 허벅,후렴:김주산,김정수 후렴:안은자 ‘오돌또기’의 뜻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.
4. 김윤덕류 가야금산조 중모리 - 이영희 11:17 연주-가야금:이영희/장구:정화영
5. 해금독주 해금풍류 - 허용업 06:52 장구:장덕화 해금풍류(염불,반염불,굿거리,느린허튼타령,자진허튼타령,당악)
6. 경상도 남해 시집살이 노래 - 김정레 |